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배터리 제조 프로세스 4. 활성화공정 활성화 공정입니다. 활성화 공정은 흔히 배터리에 생명을 불어넣는 공정이라 말합니다. 배터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에이징 과정을 거칩니다. 에이징은 각 배터리 업체의 요구조건을 기준으로 정해진 온도, 습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보관을 의미합니다. 에이징 단계를 통해 배터리 내부에 전해액을 충분히 분산시켜 이온의 이동이 최적화 되도록 합니다. 에이징 과정과 충방전을 거치며 배터리를 활성화 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불량셀을 가리기도 합니다. 활성화 공정은 배터리에 매우 중요한 공정입니다. 규모도 크고,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런 활성화 공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활성화 공정은 제조사별 차이가 있습니다. 고객의 요구에 따라 에이징 과정도 달라집니다. 그렇기에 큰 관점에서 정보.. 2020. 8. 4.
Microsoft says it is still talking with Trump about buying TikTok from its Chinese owner New York (CNN Business)Microsoft says it is still discussing a potential purchase of TikTok, days after President Donald Trump said he would ban the popular short-form video app from operating in the United States. 마이크로소프트(MS)는 틱톡의 구매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논의중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유명 숏-폼 비디오 앱인(틱톡)을 미국 내 금지하겠다고 밝힌지 며칠 지나지 않은 상황이다. In a blog post Sunday, Microsoft (MSFT) said its CEO Satya Nadella has talked wi.. 2020. 8. 3.
오픽 독학 IH(intermediate high) 취득 후기 오늘은 오픽 IH취득 후기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저는 오픽 IM2를 2번 맞은 후 IH를 맞았습니다. 스피킹 실력과 센스가 부족한게 원인이었습니다. 한 달을 목표로 다시 공부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참고했던 방법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1. 오픽이란? 우선 오픽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오픽은 자유롭게 대화하는 스피킹 테스트 입니다. OPIc은 시험 전 Background Survey(하는 일, 경험, 관심분야, 선호도 조사)와 Self Assessment(본인의 외국어 말하기 수준 확인)를 통해 문제와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선택에 따라 12~15문항이 주어집니다. 시험시간은 40분 입니다. 토익스피킹과 차이를 꼽으라면 오픽은 '조금 더 자유로운 시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020. 8. 2.
토익스피킹 독학 Lv. 6(140점) 취득 후기 약 17일 공부로 토익스피킹 점수를 취득했습니다. 토익스피킹 점수를 따기까지 공부 과정과 방법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 영어 실력 공부를 하기 전 기본 영어실력은 '굉장히 못하는 수준'이었습니다. 토익점수도 없고, 해외 경험도 없어 영어를 따로 전문적으로 공부해본 경험이 없습니다. 공부 방법과 방향성을 설정할 때 '스피킹 실력도 없는데 독학이 가능할까?'는 생각을 많이했습니다. 불안함으로 인터넷 정보를 많이 찾아본 결과 '유튜브, 구글링으로 충분히 가능하다'는 판단이 섰습니다. 2. 공부 방법 토익스피킹을 공부해본 느낌으로 Lv.6 까지는 '암기'에 의해 충분히 취득 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Lv.7~8이 목표이신 분은 암기와 더불어 기본적인 회화실력이 갖춰져야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2020. 8. 1.
배터리 제조 프로세스 3. 조립공정 저번 전극공정에 이어 조립공정입니다. 파우치 타입의 조립공정은 '노칭-라미네이션-스태킹&폴딩-포장'의 순서로 구성되어집니다. 각형은 극판에 회전을 주어 와인딩하는 방식인 젤리롤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캔에 젤리롤을 넣습니다. 하지만 최근, 캔 타입에서 스태킹 방식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각형의 공정은 파우치와 비슷해질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젤리롤 방식으로 배터리를 제조하던 삼성SDI가 헝가리 양산라인에 스태킹 방식을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https://m.etnews.com/20200605000043 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스태킹' 방식으로 만든다…헝가리에 양산 라인 구축 삼성SDI가 전기차 배터리 제조 방식에 큰 변화를 준다. 고밀도·고용량 배터리 생산을 위해 기존 와인딩 방식 대신 스태.. 2020. 7. 2.
배터리 제조 프로세스 2. 전극공정 배터리는 대표적으로 전극공정, 조립공정, 활성화 공정을 거쳐서 완성됩니다. 전극공정은 배터리에 기본 성분을 배터리의 양극, 음극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조립공정은 전극공정에서 만들어진 배터리를 쌓고 조립하는 과정입니다. 활성화 공정은 충·방전으로 전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단계입니다. 배터리 공정은 기업마다 다른 점이 있습니다. 또, 배터리 타입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러한 차이를 잘 이해하고 접근해야 합니다. 본인이 궁금한 기업의 배터리 타입에 맞는 배터리 공정을 찾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림은 LG화학의 배터리 공정입니다. LG화학은 파우치 타입 스택 방식의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LG화학의 배터리 제조 공정은 일반적으로 1. 전극(믹싱-코팅-롤프레스-슬리팅-건조) 2. 조립(노칭-라미네이.. 2020.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