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배터리 제조 프로세스 1. 배터리 타입(파우치형, 각형, 원통형) 오늘은 배터리 공정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터리는 크게 1. 전극공정, 2. 조립공정, 3. 활성화 공정으로 나뉘어 집니다. 각 배터리의 타입과 배터리 제조사별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각 배터리 타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터리 타입 배터리는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으로 나눠집니다. 각 배터리는 특성의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타입은 장, 단점이 명확히 나뉘어 집니다. 그렇기에 '어떤 배터리가 좋다'라고 쉽게 말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은 제조사별로 나누어보면 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Top10 기업의 배터리 타입을 살펴보겠습니다. 각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기업은 CTAL, BYD, 삼성SDI, CALB, CATL-SAIC입니다. 파우치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2020. 6. 25.
리튬이온 배터리 기초 5. 분리막이란? 분리막 기본 분리막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의 얇은 막입니다. 양극과 음극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면서, 0.01~1㎛(마이크로미터)의 미세한 구멍으로 리튬이온만 통과시켜 전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름입니다. 주로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만듭니다. 양극과 음극이 직접 만나 발생할 수 있는 쇼트를 방지하고, 미세 기공을 통해서 리튬이온은 전해질을 타고 이동합니다. 이 때 리튬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면 충전,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면 방전을 하며 외부 기기에 전기를 공급합니다. 또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고온이 되면 미세기공이 차단돼 내부 쇼트를 방지해 주고,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나 이물질들을 막아 안전성을.. 2020. 6. 15.
리튬이온 배터리 기초 4. 전해액이란? 전해액은 리튬이온 배터리 4대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전해액은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잘 이동할 수 있도록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충전 시 셀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전해액 원가구조 2차전지 전체의 원가구조는 양극활물질 36%, 음극재 13%, 분리막 14%, 전해액은 13%를 차지합니다. 업체마다 제품 특성에 따라 오차를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구조입니다. 전해액은 용매, 리튬 염, 첨가제로 구성돼 있습니다. 첨가제는 원가구조의 약 40%, 리튬 염 약 30%, 나머지는 용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첨가제는 원가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첨가 비율은 1~5%입니다. 이것은 상당한 기술적인 요인이 집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첨가.. 2020. 6. 12.
CNN News - As more Americans head out, 22 states are seeing jumps in new coronavirus cases While states lift more restrictions and more Americans go out to socialize or protest, almost half of US states are seeing higher rates of new coronavirus cases. 주 정부는 제한 조치를 해제하고, 많은 미국인들이 사회화 또는 항의를 위해 외출하면서 미국 주에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But the situation would have been much worse had states not shut down, a new study says. More than 1.9 million Americans have been infected, and more than 11.. 2020. 6. 9.
리튬이온 배터리 기초 3. 음극재란?(쉬운 내용) 저번 글에서 음극재에 대해 써보았습니다. 하지만 내용이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고, 내용을 쉽게 전달해드리지 못한것 같았습니다. 좀 더 쉽고, 좋은 내용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음극재(Anode) 음극재는 리튬이온을 가지면서 배터리의 전반적인 수명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에 음극재는 충·방전 시 변화에 오래 버틸 수 있는 '구조적 안전성'을 가진 재료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음극재에 가장 많이 쓰이는 핵심 재료는 흑연(Graphite)입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음극재 소재로 탄소를 쓰게 된 이유는 '탄소의 구조가 굉장히 단단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구조가 아무리 단단해도 구조가 오래 유지되지 못합니다. 따라서 쓰면 쓸수록 탄소 구조가 무너지게 됩니다. 이것이 배터리 수명이 감소하는 이유입.. 2020. 6. 8.
CNN News - The worst is yet to come for India's slowing economy(번역) Hong Kong (CNN Business)India's economy kicked off 2020 with its weakest quarter in at least eight years. But the biggest drop is yet to come. 홍콩(CNN Business) 인도 경제는 2020년 가장 낮은 분기를 보였다. 그러나 더 큰 하락은 아직 오지 않았다. GDP expanded by 3.1% in the three months to March, according to government data published Friday. That was a faster pace than economists had expected, but still the weakest figure since c.. 2020. 6. 8.